귀금속공예
귀금속공예
교육목표
-
주얼리의 유행과 흐름을 분석하고, 소비자의 기호를 파악하여 다양한 기법과 장비를 활용 하여 보석의 형태나 특성에 적합한 보석집과 부속 형태를 만들어 반지와 펜던트 제작
-
주얼리 산업의 트렌드를 조사 분석하여 창의적이고 아름다운
보석디자인을 개발 -
귀금속 세공 기술 함양
교수소개
박성희
교수귀금속펜던트세공, 종합실습
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귀금속 • 보석 1급 / 디자인 3급 귀금속 가공 기능장, 귀금속 가공 산업기사, 귀금속 가공 기능사 보석 감정사, 다이아몬드 감정사, 주얼리 코디네이터, 3D프린터 운용 기능사,
- 한국폴리텍대학 화성캠퍼스
- 현 서울특별시 남부기술교원 주얼리디자인과 교수
교육내용
교육내용 | 주요내용 | 구분 |
---|---|---|
귀금속 펜던트세공 |
디자인 도면의 펜던트를 제작 하는 능력 |
실기 |
귀금속 반지세공 |
디자인 도면의 반지를 제작 하는 능력 |
실기 |
종합실습 |
페어 난집과 선재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통 무늬인 당초문양의 펜던트 만들기 |
실기 |
-
학과강점
고용노동부와 직업능력심사평가원 훈련이수자평가 5년 연속 “A” 등급(최우수) 달성 (2022~2023년/2017~2019년) 및 각종 공모전에 입상하는 우수한 실적을 거두고 있으며, 실습실, 컴퓨터실, 주조실, 연마실, 공구 재료실, 이론 강의실 등의 보석디자인 학과만의 전용시설과 보석디자인과 귀금속가공 기준장비를 충족하는 최적화 된 교육 환경을 갖추고 있다.
-
진출분야
주얼리산업분야, 주얼리창업
-
관련자격증
귀금속가공기능사
-
보유시설 및 장비
학과전용 실습실, 학과전용 이론강의실, 연마실, 정밀주조실, 레이저마킹기(반지 회전 마킹), 레이저용접기, 아크용접기(이태리), 에어조각기 6대, 실체현미경(Leica) 6대 등 NCS 귀금속 가공과 보석 디자인 세 분류 훈련기준을 100% 충족하는 시설과 장비 보유.